내 컴퓨터에 웹서버를 설치해서 누구나 내 컴퓨터에 있는 웹페이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과정.
웹 서버의 제품군에는 apache, IIS, Nginx(엔지넥스)가 있다.
- homebrew 설치 : 완료
- apache 설정 :
터미널 실행 후 % sudo apachectl start 입력 -> 비밀번호 입력 -> 브라우저에 http://localhost 입력 후 It Works! 가 뜨면 완료.
- bitnami AMP stack 설치
구글링 검색 후 프로그램 실행 -> 서버 스탑 누르면 브라우져 연결 끊어지고 다시 스타트 누르면 연결됨.
프로그램 종료 후 다시 시작하려면 맥북 검색에 (manager-osx 검색)
- bitnami amp란?
일반적으로 외부서버에 호스팅이나, 서버호스팅을 맡겨서 홈페이지를 만들게되지만, pc에 아파치 웹서버와 php엔진, mysql db서버를 설치하여 스터디나 개발에 이용할 수 있는데, wamp 같은 여러 서버나 엔진을 모아놓은 것을 스택이라 부른다. php생태계를 구성하는 스택의 인스톨을 도와주는 사이트가 bitnami 이다.
* HTML & Internet
1. [프로그램 접근방법]
위 사진처럼 인터넷 주소로 접속했을때, 해당 파일의 위치 찾기.
응용프로그램->[mamp~~]-[apache]->[htdocs]->index2.html
2. [이론]
bitnami를 통해서 apache를 깔면 bitnami가 디렉토리안에 파일을 넣어놓는다.
http://127.0.0.1:8080/index.html 에서
127.0.0.1 은 IP주소. (Internet Protocol Address)
:8080 은 PORT. -> 맥에는 이미 웹 서버가 깔려있었지만, 편의성을 위해 웹 서버를 하나 더 깔았기때문에 구분하기위해 포트가 설정됨.
웹 브라우저에 (127.0.0.1)아이피주소를 입력하면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어있는 컴퓨터 자체를 의미하고, 그 컴퓨터의 웹 서버에 접속이된다.
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index.html 파일을 원한다는 내용을 전송하면 -> 웹 서버는 디렉토리에서 index.html 파일을 찾아서 웹 브라우저에 보내주면 웹 브라우저가 그것을 해석해서 웹 페이지에 표시하게 된다. (이것이 우리가 보는 웹 페이지)
3. 웹브라우저 실행과 디렉토리 파일 직접실행의 차이점
새탭에서 디렉토리에 있는 index.html 파일을 실행시키면 주소창에 http:로 시작되는것이 아니고 file 로 시작된다.
4. 내가 만든 웹페이지 파일예제를 htdocs폴더에 복사 붙여넣기를 하고
http://127.0.0.1:8080/index.html 새로고침하면
생활코딩수업하면서 만들었던 웹페이지가 보여진다. ㅇ0ㅇ
5. 내 컴퓨터 IP주소로 모바일에서 접속하기
[제어판]->[네트워크]->ipv4주소 확인-> 이때 모바일과 컴퓨터가 같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있어야함.
-> 모바일에서 (나의 ip주소:8080/index.html)을 입력하면 컴퓨터에서 보던 페이지와 같은 페이지가 뜬다.
'공부 > HTML,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2.01.28 - css 연습 overwatch 캐릭터 선택 (0) | 2022.01.28 |
---|---|
2021.11.10 - 국비수업 10일차 / html,css,javascript (0) | 2021.11.10 |
2021.09.14 - 생활코딩 WEB2 / CSS 기본개념,문법,선택자 (0) | 2021.09.15 |